접수완료 기관의 직무급 도입 비율은 4
페이지 정보

본문
다만 기타공공기관의 직무급 도입 비율은 48.
기재부 관계자는 "공기업·준정부기관은 양적으로는 직무중심 보수체계가 점차 안착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일부기관은 직무급을 기본급에 반영하는 등.
직무중심 보수체계가 점차 안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단, 기타공공기관은 99개 가운데 48개(48.
5%)만이 직무급을 도입해공기업·준정부기관도입률에 크게 못 미쳤고, 지난해(46.
4%)와 비교해도 비슷한 수준이었다.
[기획재정부 제공] 정부는 이번 점검을.
동일한 직위나 직급이라도 맡은 업무에 따라 보수를 차등화할 수 있다.
이번 조사는공기업·준정부기관·기타공공기관등 186개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노무사·교수 등 보수 체계 전문가 19인으로 구성된 직무급 점검단이 올해 1월.
ⓒ데일리안DB 지난해 직무급 도입 공공기관은 129곳으로, 전체공기업·준정부기관의 93.
1%가 직무급을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는 28일 이 같은 내용의 ‘2024년도 직무중심 보수체계 개편실적 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등 직무 중심 인사관리의 질적 수준 제고 성과가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기재부는 이번공기업·준정부기관점검 결과를 공공기관경영평가단에 전달해 2024년도 공공기관경영실적평가에 반영하고, 기타공공기관점검 결과는 각 주무부처에 전달해 부처 평가에 자체.
직무·성과에 기반한 보상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2021년부터 매년 실적을 점검하면서 직무급 도입을 유도하고 있다.
공기업·준정부기관에서는 전체의 93.
1%인 81개에서 직무급이 도입돼 양적으로는 직무중심 보수체계가 안착하고 있다고 기재부는 평가했다.
이번 평가 결과 전체기관의 평균 점수는 77.
6점으로, 그 중 A등급을 받은기관이 316개(41.
유형별로는공기업·준정부기관(평균 88.
2점)의 개인정보 보호수준이 가장 우수했고, 기초자치단체(평균 74.
8점)의 개인정보 보호수준이 가장 미흡했다.
노무사·교수 등 전문가 19인으로 구성된 ‘직무급 점검단’을 지난 1월부터 구성·운영하여 186개 공공기관(공기업32개,준정부기관55개, 기타공공기관99개)의 점검 결과를 확정했습니다.
점검 결과 직무급 도입기관은 2023년 108개에서 2024년 129개로 도입기관.
기재부는 직무·성과에 기반한 공정한 보상체계 확립을 통한 공공기관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지난 2021년부터 매년공기업과준정부기관을 대상으로 직무급 도입·운영 실적을 점검하고 있다.
지난해공기업(32개)과준정부기관(55개)은 87개 중 81개(93.
행정안전부는 4일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등 총 679개기관.
답변목록
등록된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