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수완료 시스템 개발사업 총괄기관으로 선정
페이지 정보

본문
ETRI가 3GPP의 6G 표준 기반저궤도위성통신 시스템 개발사업 총괄기관으로 선정됐다.
ETRI 연구진이 관련 실험을 수행하고 있다.
ETRI가 6G 표준 기반저궤도위성통신 시스템 개발사업 총괄기관으로 선정됐다.
사진은 기관 내 관련 실험실 모습.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우리나라 6G 표준 기반저궤도위성통신 시스템 개발사업을 총괄하게 됐다.
ETRI는 지난달 2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 네트워킹 전문기업 에치에프알(대표이사 정종민)이 6G 국제표준 기반저궤도위성통신 탑재체 핵심기술 개발에 ETRI의 공동연구개발 기관으로 참여한다고 12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우주항공청은 최근 '6G저궤도위성통신 시스템 개발' 과제의.
미국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7135기 vs 한국 2030년 2기 ‘예정’.
저궤도(LEO) 위성통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한국이 보유한 인공위성 수는 미국과 비교가 무색할 만큼 적다.
미국 스페이스X가 이미 지구저궤도에 통신용 위성 7135기를 쏘아올린 데 반해 한국.
ETRI가 3GPP의 6G 표준 기반저궤도위성통신 시스템 개발사업 총괄기관으로 선정됐다.
/사진=ETRI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가 우리나라 6G 표준 기반저궤도위성통신 시스템 개발사업의 총괄을 맡는다.
ETRI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우주항공청이 '6G 국제표준.
ETRI(원장 방승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우주항공청이 추진하는 ‘6G 국제표준 기반.
ETRI, 6G 국제표준 기반저궤도위성통신 시스템 개발 사업자 선정 [ETRI 제공.
[대전=뉴시스] ETRI가 3GPP의 6G 표준 기반저궤도위성통신 시스템 개발사업 총괄기관으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우주항공청은 6G 국제표준 기반의저궤도위성통신 시스템 개발 과제의 총 3개 세부과제.
/사진=한국전자통신연구원 캡처 스타링크·원웹 등 글로벌저궤도위성통신의 국내 상용화가 임박한 가운데, 정부가저궤도위성통신 기술 자립화에 나선다.
올해부터 2030년까지 총 3200억원을 투자해저궤도통신위성 2기와 지상국.
답변목록
등록된 답변이 없습니다.